공부합시다 썸네일형 리스트형 라세미체와 광학 이성질체: 무엇을 알아야 하나? 라세미체는 카이랄성 분자의 두 거울상 이성질체가 동일한 비율로 혼합된 물질로, 두 이성질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편광면을 회전시켜 광학적으로 비활성 상태를 유지합니다. 최초의 라세미 혼합물은 루이 파스퇴르가 주석산의 두 광학 이성질체를 혼합하여 만든 라세미산입니다.라세미체란 무엇인가? 탈리도마이드 사건으로 알아보는 광학 이성질체와 사례광학 이성질체는 두 분자가 거울면을 대칭으로 반대 구조를 갖는 관계를 말하며 거울상 이성질체라고도 부릅니다. 마치 우리 왼손과 오른손이 완전히 포개지지 않는 것처럼 말이지요. 광학 이eui232.tistory.com 라세미체(racemate)는 동일한 분량의 오른손잡이성 광학 이성질체와 왼손잡이성 광학 이성질체로 구성된 혼합물입니다. 이러한 혼합물은 광학적으로 비활성입니다.. 더보기 2024학년도 수능 화학1 19번[몰과 화학식량] 2023년 11월 16일에 치러진 수능 화학1 19번 문제 풀이입니다. 원자량, 분자량, 몰과 부피의 관계 등을 다루지만 학생들을 변별하려다 보니 수학 문제나 다름없는 것 같아요. 미지수를 이용해서 정석대로 풀 순 있지만 미지수의 개수가 많아지면 복잡해지고 시간안에 풀기 힘든 탓에 수학적인 직관이 좀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 유형입니다. 하지만 이번 수능에서는 계산이 간단한 숫자들로 구성하여 직관적으로 해결하기에는 수월하였던것 같습니다. 수능 19번 풀이 (가)와 (나)에서 XaYb의 몰수 비는 2:3, XaYc의 몰수 비는 2:1입니다. 저는 이것을 2몰:3몰, 2몰:1몰 로 하겠습니다. 왜냐하면 전체 부피가 4V거든요. 전체 양을 4몰이라하면 (가)에서 XaYb 2몰 + XaYc .. 더보기 2024학년도 수능 화학1 18번[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 2023년 11월 16일 치러진 대학수학능력시함 화학1 18번 문항입니다. 킬러 문항을 없애겠다는 기조하에 예년에 비해 난이도가 많이 낮아진 듯 합니다. 수능 화학1 18번 풀이 먼저 세 수용액의 액성이 모두 다릅니다. 산과 염기의 부피비가 Ⅰ은 V:10 Ⅱ는 V:20 Ⅲ은 V:40/3 이므로 순서대로 산성, 염기성, 중성임을 알 수 있습니다. 수용액 Ⅰ에 들어 있는 양이온은 H+와 Na+가 있으며 각각의 양은 2xV-10y (mmol), 10y (mmol) 입니다. 따라서 모든 양이온의 몰 농도 합은 2xV/(V+10) = 2 입니다. 수용액 Ⅱ에는 양이온은 Na+뿐입니다. 양은 20y (mmol)이고요 모든 양이온의 몰 농도 합은 20y/(V+20) = 2 입니다. 수용액 Ⅲ은 중성이므로 넣어 준 H.. 더보기 2024학년도 9월 모의고사 화학1 16번, 17번 2023년 9월 6일에 치러진 9월 모의고사 화학1 16번과 17번 문항 해설입니다. 아무래도 킬러 문제 배제 기조에 따라 4페이지에서 난이도가 좀 낮아지면서 16, 17번 정도에서 시간이 더 걸렸을 듯합니다. 수학적 사고가 좀 요구되는 문항이었어요. 16번 풀이 X의 평균 원자량이 79와 81의 중간인 80이니까 동위원소가 1:1로 존재함을 알 수 있어요. 따라서 a=50, b=50 XY의 분자량으로 가능한 조합은 79+m, 79+(m+2) = 81+m, 81+(m+2) 세 가지입니다. 다음으로 c, d를 구하기 위해 XY 중 분자량이 m+81인 XY의 존재 비율을 알아보겠습니다. 분자량이 m+81인 XY는 81XmY와 79Xm+2Y가 있습니다. 81XmY의 존재 비율은 50% x c% 79Xm+2Y의.. 더보기 2024학년도 9월 모의고사 화학1 18번[몰과 화학식량] 2023년 9월 6일에 치러진 9월 모의고사 화학1 18번 문항 해설입니다. 기체의 몰수, 질량, 부피, 원자량 등을 복합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항으로 각 기체 분자의 양을 찾아내는 것만 성공하면 다음은 수월하지만 다른 문항에 비해 시간이 조금 많이 걸리는 문항입니다. 제 개인적으로도 18번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쓴 것 같아요. 18번 풀이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들을 살펴보고 다음과 같이 풀이합니다. 1. 실린더의 부피비가 기체의 몰비임을 파악합니다. 2. 첫 번째, 두 번째 원자 수 단서를 활용하여 각 기체의 몰비를 구합니다. 3. 세 번째 조건에서 Z의 질량을 알려줬으니 Z의 원자량을 구할 수 있겠네요. 4. 실린더 내부의 질량이 주어졌고 Z의 원자량을 구했으니 X, Y의 원자량을 구할 수 있어요. 5... 더보기 2024학년도 9월 모의고사 화학1 19번[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 2023년 9월 6일에 치러진 9월 모의고사 화학1 19번 문항 해설입니다. 농도를 알지 못하는 산과 염기의 혼합 용액에서 각각의 양이온 수의 비율을 다루고 있어요. 하지만 혼합 용액 (가)~(다)의 액성을 모두 알려주고 있어 크게 어렵지 않았습니다. 19번 풀이 먼저 (가)의 액성은 중성이라 하였으니 혼합 용액에 존재하는 양이온은 Na+와 K+입니다. (나)와 (다)에서는 세 가지 양이온이 존재하므로 H+가 존재함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액성은 산성입니다. (가)에 존재하는 양이온 수의 비율이 1:2 인데, 이를 Na+:K+=2:1이라 가정하면 각각의 농도 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a:b:c=3:2:1 편의상 a, b, c를 각각 3, 2, 1라고 합시다. 이를 이용하여 (나)에서 양이온의 양(mmol)을.. 더보기 2024학년도 9월 모의고사 화학1 20번[화학반응 양적관계] 2023년 9월 6일에 치러진 9월 모의고사 화학1 20번 풀이입니다. 화학반응의 양적관계를 다루는 전형적인 문제로 익숙한 유형이었고 화학 반응식의 계수도 다 알고 있고 모든 반응에서 한계반응물을 알려주어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습니다. 20번 풀이 실험Ⅰ에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반응 전, 반응, 반응 후의 양적관계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와 C는 1:1의 몰수비를 가지며 화학식량의 비가 2:5 이므로 생성되는 C의 질량이 35w임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질량 보존의 법칙을 이용하여 남은 B의 질량을 구할 수 있겠지요. 14w+96w='남은 B'+35w+27w 따라서 남아 있는 B의 질량은 48w이며 반응한 B의 질량은 48w입니다. 이를 통해 반응하는 A와 B의 질량비가 7:24 임을 알 .. 더보기 과학 동아리 기체의 분자량 측정 실험, 이상기체 방정식의 활용 이상기체 방정식을 이용하면 기체의 분자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한 시간 정도면 수행할 수 있는 실험으로 어렵진 않지만 화상을 입지 않도록 유의하세요. 이상 기체 방정식과 실제 기체 방정식 이상 기체 방정식은 기체의 상태를 설명하는 방정식입니다. 하지만 실제 기체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데요. 이는 이상 기체는 가상의 기체이기 때문입니다. 이상 기체와 이상 기체가 되기 eui232.tistory.com 준비물 아이소 프로판올(iso-propanol) 아이소 프로판올은 휘발성이 좋은 액체로 몰질량이 60.1g이고 끓는점이 82.6℃로 공기보다 밀도가 크고 물이 끓기 전 먼저 기화하므로 이 실험에 적합한 물질입니다. 둥근 바닥 플라스크, 눈금실린더, 비커 은박지, 스탠드, 핫플레이트 실험과정 1. 둥근 바..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