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과학 동아리 기체의 분자량 측정 실험, 이상기체 방정식의 활용 이상기체 방정식을 이용하면 기체의 분자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한 시간 정도면 수행할 수 있는 실험으로 어렵진 않지만 화상을 입지 않도록 유의하세요. 이상 기체 방정식과 실제 기체 방정식 이상 기체 방정식은 기체의 상태를 설명하는 방정식입니다. 하지만 실제 기체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데요. 이는 이상 기체는 가상의 기체이기 때문입니다. 이상 기체와 이상 기체가 되기 eui232.tistory.com 준비물 아이소 프로판올(iso-propanol) 아이소 프로판올은 휘발성이 좋은 액체로 몰질량이 60.1g이고 끓는점이 82.6℃로 공기보다 밀도가 크고 물이 끓기 전 먼저 기화하므로 이 실험에 적합한 물질입니다. 둥근 바닥 플라스크, 눈금실린더, 비커 은박지, 스탠드, 핫플레이트 실험과정 1. 둥근 바.. 더보기
이상 기체 방정식과 실제 기체 방정식 이상 기체 방정식은 기체의 상태를 설명하는 방정식입니다. 하지만 실제 기체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데요. 이는 이상 기체는 가상의 기체이기 때문입니다. 이상 기체와 이상 기체가 되기 위한 조건, 실제 기체를 나타낼 수 있는 방정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기체 방정식 이상 기체 방정식은 기체의 상태를 서술하는 방정식으로 '보일의 법칙', '샤를의 법칙', 아보가드로 법칙을 모두 아우릅니다. 보일의 법칙: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한다. V∝1/P 샤를의 법칙: 기체의 부피는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V∝T 아보가드로 법칙: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양(mol)에 비례한다. V∝n 위 세 법칙을 종합하고 비례 상수를 넣어주면 아래의 방정식이 됩니다. 특히 비례 상수는 R로 표현하며 기체 상수(gas.. 더보기
오차의 원인 및 유효숫자 처리 방법 실험을 수행하다 보면 오차는 항상 따르기 마련입니다. 오차가 발생하는 이유와 유효숫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측정과 오차 실험 오차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우연 오차(random error) 우연 오차는 측정하는 사람의 부주의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우연 오차는 누가 측정하냐에 따라 달라지며, 같은 사람이 측정하더라도 측정할 때마다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연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연습을 통해 측정 기술을 향상시키고 여러 번 측정하여 측정값과 편차를 함께 제시하여야 합니다. 2. 계통 오차(systematic error) 연습을 통해 우연 오차를 줄인다 해도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오차가 있습니다. 이는 측정 방법 및 측정 도구가 지닌 한계 때문인데요 단순히 측정자.. 더보기
수능 최저 마지막 테스트, 9월 모의평가 주요 사항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대비하는 9월 모의평가가 2023년 9월 6일 수요일에 실시됩니다. 9월 모의평가 주요 사항 및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사항 9월 모의평가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수준을 진단하고 보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수능 응시 예정자의 학력 수준을 파악하여 수능 적정 난이도를 유지하기 위해 실시됩니다. 시험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 제2 외국어 영역으로 구분되며, 한국사는 반드시 응시하여야 성적표가 나옵니다. 탐구는 사회, 과학 구분 없이 2과목 선택할 수 있습니다. 문제 및 정답에 대한 이의 신청은 9월 6일 수요일 ~ 9일 토요일까지 가능합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의 신청 게시판 이용) 코로나19 확진자는 별도의 현장 또는 온라인 응시 기회가 제공됩니다... 더보기
이성질체(isomer)의 종류와 분류 이성질체는 분자식은 같지만(구성 원소의 종류와 개수는 같지만) 물리, 화학적 성질이 다른 화합물, 또는 광학 활성이 다른 화합물을 말합니다. 이는 분자를 구성하는 원소의 종류와 구성 원자의 개수가 같더라도 이들이 결합하고 있는 구조가 다르거나 결합하고 있는 구조는 같더라도 공간상의 상대적인 배열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성질체의 분류 이성질체는 원자들 간의 화학 결합의 순서가 바뀌는지에 따라 크게 '구조 이성질체'와 '입체 이성질체'로 구분됩니다. 구조 이성질체 먼저 구조 이성질체는 원자의 결합 순서가 다른 이성질체로 작용기의 종류가 다르거나 작용기의 위치가 다릅니다. 이러한 구조 이성질체는 탄소 사슬이 길어짐에 따라 이성질체의 수가 많아지는데요. 데케인(C10H22)은 무려 75개의 이성질체가 존재하게 .. 더보기
시성식과 작용기, 구조 이성질체 C2H5OH는 어떤 물질일까요? 바로 에탄올입니다. 그렇다면 에탄올의 화학식을 C2H6O로 쓰지 않은 이유가 무엇일까요? 시성식과 작용기 C2H5OH로 나타내어진 화학식은 C2H5- 에 -OH가 결합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여기에서 -OH는 알코올을 특성을 나타내는 부분으로서 '작용기'라고 합니다. 작용기 이름 -OH 하이드록실(hydroxyl)기 -O- 에터(ether)기 -CHO 알데하이드(aldehyde)기 -CO- 카보닐(carbonyl)기 -COOH 카복실(carboxyl)기 -COO- 에스터(ester)기 -NH2 아미노(amino)기 따라서 에탄올의 화학식을 C2H6O가 아닌 C2H5OH로 나타냄으로써 이 물질의 특성과 구조를 드러낼 수 있는 셈이지요. 이처럼 작용기를 나타낸 화학식을 '시성.. 더보기
시스-트랜스(cis-trans), 기하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는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의 결합 관계는 같지만 서로 다른 공간 배열을 갖는 이성질체입니다. 원자 또는 작용기의 방향에 따라 시스(cis), 트랜스(trans)로 불리며 기하 이성질체를 시스-트랜스 이성질체라고도 합니다. 시스-트랜스 이성질체란? cis와 trans는 라틴어로 "이쪽", "반대쪽"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같은 종류의 원자 또는 그룹이 같은 쪽에 있는 경우 이를 cis형, 같은 종류의 원자 또는 그룹이 반대쪽에 있는 경우 이를 trans형이라 합니다. 시스-트랜스 이성질체의 성질 시스-트랜스 이성질체는 서로 다른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보입니다. 두 이성질체의 구분되는 특성은 공간상의 배열 및 쌍극자 모멘트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데요. 대체로 트랜스 이성질체는 상대적으.. 더보기
탈리도마이드 사건으로 알아보는 광학 이성질체와 사례 광학 이성질체는 두 분자가 거울면을 대칭으로 반대 구조를 갖는 관계를 말하며 거울상 이성질체라고도 부릅니다. 마치 우리 왼손과 오른손이 완전히 포개지지 않는 것처럼 말이지요. 광학 이성질체 광학 이성질체는 같은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나 거울상처럼 서로 완전히 포개지지 않는 구조를 띄는 화합물입니다. 4개의 다른 원자 혹은 치환기와 결합하고 있는 탄소를 카이랄(chiral) 탄소라고 하며 이 카이랄 탄소를 갖는 화합물은 광학 이성질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은(글라이신 제외) 카이랄 탄소를 가지고 있어 거울상 이성질체가 존재합니다. 단, 카이랄 탄소를 가지고 있어도 분자 내의 대칭면이 존재한다면 광학 이성질체가 될 수 없습니다. 광학 이성질체는 물리적 성질, 화학적 성질이 모두 같습니다. .. 더보기